폴이 복막염 치료 17일 차입니다. 복막염 진단 당일의 혈액검사지를 보고 고양이 혈액검사 결과와 함께 주요 항목의 의미와 예상질병, 이상징후 등을 알아보겠습니다. 폴이는 과거보다 체중이 아직도 낮은 상태인걸 빼면 사실 아픈 고양이라고 보이지 않을 정도의 식욕, 활동성, 애교, 배변활동 등을 보이고 있습니다. 자세한 치료 후기는 본문 하단에 적도록 하겠습니다.
복막염 진단시의 가장 중요한 수치는 A/G Ratio입니다. 포스팅 하단에 A/G Ratio와 FIP 복막염과의 관계에 대해서도 설명되어 있으니, 이 부분은 꼭 확인해 보시면 좋겠습니다.
고양이 코로나 복막염 치료 8일 차, FIP 복막염 증상, 진단, 전염성
폴이 복막염 치료 8일 차입니다. 복막염 진단일인 2023년 5월 1일 저녁부터 주사 치료를 바로 시작했습니다. 주사약은 렘데시비르입니다. 매일 오전 7시, 오후 19시 전후로 약 12시간 간격으로 0.5ml
koonph.tistory.com
고양이 코로나 복막염 치료일지, FIP 원인 치료
폴이의 FIP(Feline Infectious Peritonitis) 복막염 진단 및 치료 3일 차입니다. 치료시작과 더불어 보호자도 공부를 시작했습니다. 2살 배기 어린 녀석 혼자서만 고생하도록 둘 수는 없는 노릇이지요. 아
koonph.tistory.com
고양이 혈액검사 결과 주요 수치 알아보기
항목 | 내용 | 정상범위 | 관련 질병 |
ALB | 알부민(Albumin) | 2.2~4.2 g/dL | 염증, 질병 감염 |
ALP | 알칼리성 인산효소 (Alkaline Phophatase) |
10~100 U/L | 간, 담도, 골 질병 |
ALT | 알라닌 아미노전이효소 (Alnanine Aminotransferase) |
5~100 U/L | 간 |
AMY | 아밀라아제 | 0~160 U/L | 췌장 |
BUN | 요소 (Blood Urea Nitrogen) |
14~36 mg/dL | 간, 신장 |
PHOS | 인(Phosphorus) | 2.5~6.0 mg/dL | 뼈, 근육 |
TP | 총 단백질 (Total Protein) |
5.2~7.8 g/dL | 탈수, 염증, 간 |
GLOB | 글로불린 (Globulin) |
2.5~4.5 g/dL | 면역력, 감염, 염증, |
A/G Ratio | 알부민/글로부민 비율 | 0.8~2.2 | 간, 면역, 혈액질환, 감염 |
1. ALB(Albumin)
ALB는 알부민(Albumin)의 약어입니다. 알부민은 간에서 합성되는 단백질의 한 종류로 고양이의 체내 혈액의 수분을 조절하고, 혈액 속의 다른 영양분이나 성분들을 운반하는 역할을 합니다. ALB 수치는 일반적으로 고양이 혈액 내의 단백질의 양을 나타내고, 알부민은 혈액 내 단백질 총 양의 40~60%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알부민 수치가 낮을 경우에는 빈혈 또는 간기능의 이상을 의심해 볼 수 있습니다. 그리고 알부민 수치가 높다면 기타 염증 또는 질병 감염의 문제일 수 있습니다. 대부분 정상적인 고양이의 ALB 수치는 2.2~4.2g/dL의 범위 내에서 유지됩니다.
2. ALP(Alkaline Phosphatase)
ALP는 알칼리성 인산효소(Alkaline Phosphatase)의 약어입니다. 알칼리성 인산효소는 신장, 장, 간, 췌장 등의 장기에서 생성되는 효소이며, 혈액 내의 인산을 분해해 주는 역할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또한 골에서도 생성되기 때문에 골 형성에도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담즙배설장애를 판단할때에는 GGT 수치와 함께 평가합니다. 담즙배설장애, 부신피질기능향진증, 쿠싱증후군이 있을 경우 수치가 증가할 수 있습니다. 성장기에 해당하는 고양이의 경우에는 수치가 간혹 높게 나올 수 있지만 대부분은 정상 범위 내에서 측정됩니다. ALP 수치가 간수치와 함께 상승하는 경우 성장기의 고양이라 할지라도 간손상을 의심해 볼 수 있습니다. 간과 관련된 문제나 질병이 존재하는 고양이의 경우 간과 관련된 수치만 상승하는 것이 아닌 여러 수치가 동시에 이상 수치를 보이게 됩니다.
ALP 수치는 간, 담도, 골 등의 문제나 이상 유무를 판별하는 데 사용됩니다. 간세포나 담도세포 등의 ALP 수치가 증가할 경우 간 또는 담도 문제를 의심해 볼 수 있습니다. 이외에도 골 문제가 발생했을 수도 있습니다. ALP 수치가 증가했을 경우에는 추가 검사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정상적인 고양이라면 AL 수치는 10~100U/L 범위 내에서 유지되게 됩니다. 그러나 이 정상범위는 고양이의 나이나 성별, 식사여부, 활동량등 다양한 요소들에 따라 변동될 수 있기 때문에 검사 시에는 고양이의 개별 상황을 함께 고려하여 평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3. ALT(Alnanine Aminotransferase)
ALT는 알라닌 아미노전이효소(Alnanine Aminotransferase)의 약어입니다. ALT는 간에서 생성되는 효소이며, 에너지 생성과 단백질 대사에 관련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ALT 수치는 간 기능을 평가하는데 주로 사용됩니다. 간세포가 손상된 고양이의 경우 ALT가 혈액 내로 유출되기 때문에 혈액 내의 ALT 수치가 증가합니다. 따라서 ALT 수치가 높게 측정된다면 간과 관련된 문제를 의심해 볼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정상적인 고양이의 ALT 수치는 5~100 U/L 범위 내에서 유지됩니다. 그러나 혈액검사의 모든 수치는 고양이의 식욕, 체중, 성별, 활동량 등 고양이 별 다양한 주변 환경 요소와 함께 고려되고 판단되어야 합니다.
대부분 ALT 수치가 증가하는 경우에는 간손상으로 볼 수 있으며, 먹으면 안 되는 약품을 섭취했을 경우 이 수치가 급성으로 급격하게 증가할 수 있습니다.
4. AMY
고양이 아밀라아제 수치입니다. AMY 수치가 증가하면 췌장염을 의심해 볼 수 있지만, 혈액검사 전에 금식을 하지 않고 지방이 많이 포함된 음식을 섭취했을 경우에도 수치가 증가할 수 있습니다.
췌장염의 경우에는 발병 시 심한 통증을 유발하기 때문에 이미 음식 섭취를 거부하거나 식욕이 떨어져 있는 경우가 많고 구토나 복통 등의 증상을 동반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식욕이 없어서 음식을 먹지 못했거나, 검사를 위한 금식을 했음에도 불구하고 수치가 높다면 췌장염을 의심해 볼 수 있습니다.
정상 AMY 수치는 0~160 U/L 범위 내에서 유지됩니다.
5. BUN(Blood Urea Nitrogen)
BUN 수치는 Blood Urea Nitrogen의 약어로 고양이 혈액 내의 요소 수치를 나타내줍니다. BUN은 단백질 대사의 산물이라 간과 신장, 콩팥에서 생성되고 콩팥을 통해 외부로 배출됩니다.
BUN 수치는 고양이의 신장 기능을 평가하는 데 주로 사용됩니다. 고양이의 신장 기능에 이상이 있다면 체내 BUN 수치가 상승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BUN 수치는 식사 여부나 수분 섭취량, 활동량 등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주변 환경을 함께 고려하여야 합니다.
정상수치 범위는 14~36 mg/dl이며, 수치가 증가했을 경우에는 신장 기능의 이상을 의심해 볼 수 있고, 수치가 감소했다면 지나친 저단백 식단이 원인이거나 간 기능의 이상을 의심해 볼 수 있습니다. 이 수치 하나로 질병을 진단할 수는 없기 때문에 정상수치 이외의 수치가 나온다면 추가적인 검사를 해보는 것이 좋습니다.
6. CA(Calcium)
CA는 고양이의 신경이나 근육, 뼈 등의 기능을 평가하는데 사용되는 칼슘(Calcium) 농도를 나타내는 수치입니다. 이 수치는 고양이가 과다한 칼슘을 섭취하거나, 신체에서 칼슘을 적절히 배출하지 못할 때 증가하거나 감소할 수 있습니다.
정상 CA 수치는 8.2~10.8 mg/dL 범위 내에서 유지됩니다.
7. CREA(Creatine)
CREA는 고양이의 근육 내에 존재하는 크레이틴 수치를 나타내며, BUN 수치와 함께 상승을 보일 경우 신장질환을 의심해 볼 수 있습니다. 이 수치는 근육량이나 활동량이 적은 고양이 또는 노령묘에게서는 정상 수치보다 낮게 나올 수 있습니다.
8. PHOS(Phosphorus)
Phosphorus의 약어로 고양이의 혈액 내의 인의 농도를 나타내주는 수치입니다. 인은 고양이의 뼈와 근육의 정상기능, 그리고 에너지 생산이나 대사 활동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PHOS의 정상 수치 범위는 2.5~6.0 mg/dL 범위이며 이 수치를 통해 고양이의 뼈나 근육 기능을 평가할 수 있습니다.
9. TP(Total Protein)
TP는 고양이 혈액 내의 단백질 총량을 의미합니다. 그리고 이는 알부민과 글로불린 두가지 구성요소로 나누어 측정됩니다.
TP 수치는 고양이의 현재 건강 상태를 파악하는데파악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ALB(알부민)은 고양이의 간 기능을 평가하는데 이용되며, 글로불린은 면역 체계 및 수분 균형을 파악하는 데 사용됩니다. TP 수치의 정상 범위는 5.2~7.8g/dL이며 이 수치가 정상범위보다 높게 나타날 경우 수분 부족이나 염증 또는 간 기능을 의심해 볼 수 있고, 정상 수치보다 낮게 나올 경우 탈수, 간기능이상, 소화기 이상의 문제를 의심해 볼 수 있습니다.
10. GLOB
고양이 혈액검사에서 GLOB 수치는 고양이 혈액 내 단백질 전체 양을 측정하는 지표인 글로불린 수치를 나타냅니다. 글로불린 수치는 보통 ALB(알부민)과 함께 평가됩니다. 알부민 수치가 감소하면서 GLOB 수치가 증가할 경우에는 비만이나 염증 또는 기타 질병과 같은 문제를 의심해 볼 수 있습니다.
11. A/G Ratio
A/G Ratio 수치는 알부민(Albumin)과 글로불린(Globulin)의 비율을 나타내는 수치입니다. 이 수치는 고양이의 혈액 내 단백질의 양과 종류를 평가하는데 사용됩니다.
정상적인 고양이라면 A/G Ratio 수치는 0.8~2.2 사이의 값으로 나타납니다. 이는 혈액 내의 단백질의 양, 종류를 판단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A/G 비율이 높다면 글로불린 수치가 높아졌거나, 알부민 수치가 낮아지는 경우로 볼 수 있고 이는 간, 면역체계, 혈액질환, 기타 감염성 질병과 같은 건강문제를 의심해 볼 수 있습니다.
12. FIP 복막염과 A/G Ratio 수치와의 관계
고양이 FIP 복막염은 감염성 질환이며, 특정 항체들이 FCoV 바이러스와 반응하여 면역 반응을 일이켜 발생하는 질병입니다. 그리고 이로 인해 고양이 혈액검사 상의 검사 결과 수치에 변화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 그리고 A/G Ratio 수치는 혈액 내 단백질의 양과 종류를 판별하는 데 사용되는 수치입니다.
FIP 복막염이 발생하면 이에 대한 면역반응으로 인해 고양이 혈액 내의 글로불린 수치가 증가하게되고 이로 인해 A/G Ratio 수치가 감소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FIP 복막염에 걸린 고양이는 정상적인 고양이에 비해서 혈액검사 시 A/G Ratio 수치가 낮게 나타날 수 있습니다.
다만 A/G Ratio 수치가 낮다고해서 반드시 복막염인 것은 아닙니다. 이 수치는 다른 여러 질병이나 원인으로 인해서도 변화가 나타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혈액검사 시 A/G Ratio 수치가 낮게 나왔다면 초음파 등의 검사를 통해 반드시 고양이 체내에 복수가 있진 않은지 검사를 통해 복막염 여부를 확인해야 합니다.
13. 폴이 복막염 17일차 주사 치료 후기
- 주사 반응 : 주사 맞기 전 조금 피함, 주사 중 짧게 울음소리 냄, 몸부림치거나 도망치지 않음
- 활동성 : 매우 좋아짐, 다른 아이들보다 잠자는 시간이 많음, 사냥놀이나 장난을 치기 시작함
- 식욕 : 매우 좋아짐
- 음수량 : 스스로 물을 많이 먹기 시작
- 피부 상태 : 이전 주사부위에 딱지가 앉은 부분들이 발견되고, 각질이 생김
- 복부 : 누워있으면 팽팽하던 복부가 다른 아이들처럼 말랑해짐
- 체중 : 6.2 kg -> 6.8 kg
폴이 FIP 복막염 치료 17일차가 되었습니다. 렘데시비르 80% 약물을 아침저녁 0.5ml씩 주사해주고 있습니다. 여전히 주사는 얌전히 잘 맞아주지만 맞기 전에 슬쩍 자리를 피하거나 맞는 중에 짧게 울기도 합니다. 그래도 아직은 간식이 좋은지 몸부림치거나 도망치거나 하진 않고 간식 잘 먹으며 주사 잘 맞습니다.
활동성은 매우 좋아졌습니다. 퇴근하고가면 다른 아이들처럼 뛰어서 마중도 나와주고, 밥 달라 간식 달라 울기도 합니다. 그리고 가장 눈에 띄는 부분은 다른 고양이들과 사냥놀이를 하는 등 장난도 치고 놀기도 하기 시작한 것입니다. 캣타워나 창틀이나 식탁, 테이블 등 올라갈 수 있는 곳도 자유롭게 다니고 있습니다.
고양이 코로나 복막염 치료 8일 차, FIP 복막염 증상, 진단, 전염성
폴이 복막염 치료 8일 차입니다. 복막염 진단일인 2023년 5월 1일 저녁부터 주사 치료를 바로 시작했습니다. 주사약은 렘데시비르입니다. 매일 오전 7시, 오후 19시 전후로 약 12시간 간격으로 0.5ml
koonph.tistory.com
고양이 코로나 복막염 치료일지, FIP 원인 치료
폴이의 FIP(Feline Infectious Peritonitis) 복막염 진단 및 치료 3일 차입니다. 치료시작과 더불어 보호자도 공부를 시작했습니다. 2살 배기 어린 녀석 혼자서만 고생하도록 둘 수는 없는 노릇이지요. 아
koonph.tistory.com
식욕 또한 많이 좋아졌습니다. 간식이나, 영양식 캔을 기호성 좋은 제품 위주로 따로 챙겨주고 있긴하지만 사료도 잘 먹고 스스로 물도 많이 잘 먹습니다. 생식을 준비하고 있을 때에는 가장 먼저 달려 나와서 옆에서 기다리고, 먹는 양도 처음에 비해 많이 늘어났습니다.
피부 상태는 치료를 하면서 조금씩 안좋은 현상이 보이는 것 같습니다. 치료 초기에 주사를 맞았던 부분이 붉게 변한 것이 아직도 유지되고 있으며, 각질도 다른 아이들보다 많이 나오고, 어느 부분은 딱지가 생겨있는 부분도 있습니다. 피부 관리에 있어서는 보호자인 제가 미처 파악하지 못하고 있었습니다. 주사 놓기 전/후에 주사 부위에 대해서만 소독을 해주었는데, 오늘부터는 과거 주사 부위도 살펴보고 소독이 필요한 부위에는 소독해 주고 연고도 발라주며 경과를 지켜볼 예정입니다.
'고양이 복막염 치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양이 코로나 복막염 치료 8일 차, FIP 복막염 증상, 진단, 전염성 (1) | 2023.05.08 |
---|---|
고양이 코로나 복막염 치료일지, FIP 원인 치료 (1) | 2023.05.03 |
랙돌 고양이 폴이 복막염 발생(고양이 복막염 FIP) (3) | 2023.05.02 |
댓글